에이지 오브 지그마

워해머 AOS 배틀리포트, 스톰캐스트 vs 나이트헌트

stormlove 2025. 2. 1. 01:07

스톰캐스트 이터널 VS 나이트헌트 2000포인트 게임입니다.

배틀플랜은 Battle for the Pass, 세로로 길게 맵을 쓰는 플랜입니다. 아군영토의 오브젝트는 1점, 경계에 걸친 오브젝트는 각 2점, 적영토의 오브젝트는 5점을 얻으며, 오브젝트로 얻을 수 있는 점수는 6점이 한계입니다.

전장배치

나이트헌트 측의 아미구성

두 부대의 증원된 블레이드가이스트가 주력이 되는 구성입니다.

 

General's Regiment
Lady Olynder, Mortarch of Grief (310)
 • General
Bladegheist Revenants (360)
 • Reinforced
Bladegheist Revenants (360)
 • Reinforced
Chainrasps (100)
Lord Executioner (170)

Regiment 1
Reikenor the Grimhailer (240)
Dreadblade Harrows (170)
Dreadblade Harrows (170)
Pyregheists (120)

 

스톰캐스트 이터널의 아미구성

가르두스-로드 임페르탄트의 능력을 이용해 대규모 강하 후 선차지를 하는 로스터입니다.

가르두스, 임페르탄트, 레클루시안, 리버레이터, 어나힐레이터가 강하를 위해 리저브로 빠집니다.

 

General's Regiment
Gardus Steel Soul (170)
 • General
Annihilators (150)
Liberators (200)
 • Reinforced
Lord-Imperatant (140)
 • Shock and Awe

Regiment 1
Lord-Celestant (130)
 • Quicksilver Draught
Knight-Vexillor (110)
Stormcoven (210)
Vanquishers (220)
 • Reinforced

Regiment 2
Lord-Relictor (130)
Reclusians (280)
 • Reinforced
Vigilors (130)
Vigilors (130)

 

<1라운트 선턴-나이트헌트>

나이트헌트는 배틀택틱으로, 데스 전용인 비히어로 전멸 택틱인 마크드 포 더 그레이브을 선택, 대상으로는 전장 하단의 비질러를 선택합니다. 

 

히어로 페이즈에 레이디 올린더와 그림헤일러가 나이트헌트의 엔드리스 스펠을 모두 꺼내어 놓습니다.

블레이드가이스트가 비질러제거를 위해 달려오지만 런을 해도 차지거리가 나오지 않아 교전에 실패합니다. 대신 드레이드블레이드들이 경계의 오브젝트 두개를 모두 확보하며 오브젝트 점수 5점을 확보합니다.

 

<1라운트 후턴-스톰캐스트 이터널>

스톰캐스트는 배틀택틱으로 두 낫 웨이버(아군부대 전멸 없이 2부대 이상 교전)을 선택합니다.

곧, 대규모 스톰캐스트 부대가 나이트헌트 후방에 강습합니다.

어나힐레이터 한부대도 측면에 강습

로드 임페르탄트가 강습한 스톰캐스트 부대를 추가이동 시키고, 가르두스가 주변 부대 차지 및 어택 보너스를 발동합니다.

이때, 리버레이터 부대는 범위에서 벗어나 버프를 받지 못합니다.

레이디 올린더가 리디블로이(적턴에 D6인치 이동)로 높은 수를 띄우며 레클루시안으로부터 멀어집니다.

이에 버프를 받은 레클루시안의 차지는 실패하고, 버프를 받지 못한 리버레이터와 가르두스가 돌격해 들어갑니다.

전방의 뱅퀴셔들도 체인라습에 차지하나 엔드리스스펠들의 방해로 제대로 붙지 못합니다. 이후 교전에 일어나 서로 피해를 주고받지만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지는 못합니다.

 

스톰캐스트측의 턴이 종료되며 오브젝트 3점 및 배틀택딕달성 4점을 확보합니다.

<1라운드 종료 - 나이트헌트 5, 스톰캐스트 7>

 

<2라운드 선턴-나이트헌트>

나이트헌트는 배틀택틱으로 이전 라운드 스톰캐스트와 같은 두 낫 웨이버를 선택합니다.

파이어가이스트가 드레이드블레이드를 도와 오브젝트점거를 위해 다가옵니다.

교전중인 가르두스와 리버레이터를 향해 또 다른 블레이드가이스트 부대가 접근해옵니다.

영웅들의 마법으로 그 숫자를 회복하는 체인라습

포위당한 리버레이터와 가르두스는..

그대로 전멸합니다. 나이트헌트 측이 세개의 오브젝트는 유지(5점)하며, 배틀택틱을 달성(4점)하여 9점을 확보합니다.

 

<2라운트 후턴-스톰캐스트 이터널>

스톰캐스트는 배틀택틱으로 어택 온 투 프론츠(이전에 점령하지 않았던 2개이상의 오브젝트 점령)를 선택합니다.

차지를 실패했던 레클루시안과 임페르탄트가 전진해 들어갑니다.

스톰캐스트의 운석이 떨어지며 중앙의 나이트헌트들에게 피해를 줍니다.

스톰코븐은 후방으로 접근해온 드레이드블레이드 한부대를 격퇴합니다.

임페르탄트와 레클루시안은 한부대의 블레이드가이스트를 전멸시키며, 적진의 오브젝트 탈취에 성공합니다.

한편 스톰캐측에서 실수로 벡실러를 차지시키면서.. 원래 점령하려고 했던 오브젝트에서 벗어나는 바람에 자동으로 배틀택틱을 실패합니다.

중앙의 뱅퀴셔들은 체인라습을 모두 정리합니다.

적진의 오브젝트를 탈취했지만 배틀택틱 달성에 실패하면서 스톰캐스트는 2라운드에 6점을 확보합니다.

<2라운드 종료 - 나이트헌트 14, 스톰캐스트 13>

 

<3라운드 선턴-나이트헌트>

나이트헌트는 배틀택틱으로 테이크 데어 랜드(적 영토의 지형 점거)를 선택합니다.

다음턴 레클루시안의 차지에 대비해 병력을 재배치하는 나이트헌트

로드 셀레스턴트가 익스큐셔너에게 처형당하고 맙니다.

나헌의 엔드리스스펠이 스톰코븐에 차지를 성공, 이어지는 공격에서 두명의 병사를 제거하는 쾌거를 거둡니다.

나헌의 각종 공격을 받은 비질러들이 결국 전멸합니다. 벡실러가 리디플로이로 나헌측 오브젝트를 하나 뺏습니다.

 

나헌측은 이전턴에 전멸한 블레이드가이스트의 절반을 부활시키고, 부활한 블레이드가이스트와 순간이동한 드레이드블레이드로 적진의 지형을 점거하는데 성공하여 택틱을 달성, 총 6점(경계오브젝트 1개 2점, 배틀택틱 4점)을 확보합니다.

 

<3라운트 후턴-스톰캐스트 이터널>

스톰캐스트도 전턴 나이트헌트와 동일한 테이크 데어 랜드를 택틱으로 선택합니다.

차지해간 레클루시안이 파이어가이스트를 전멸시키고 블레이드가이스트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스톰캐스트는 전멸한 리버레이터 절반을 부활시켜 하단 오브젝트 전방에 위치시킵니다.

엔드.리스 스펠과 투닥이는 스톰코븐.

렐릭터가 아군영토 오브젝트 보호를 위해 어나힐레이터를 아군영토 오브젝트쪽으로 순간이동 시킵니다. 적진 후방에 있던 비질러들이 지형을 무난하게 점거하며 택틱달성에 성공하여 10점(아군영토 오브젝트 1점, 적군영토 오브젝트 5점, 택틱 4점)을 확보합니다.

 

<3라운드 종료 - 나이트헌트 20, 스톰캐스트 23>

 

<4라운드 선턴-나이트헌트>

나이트헌트는 데스전용 택틱인 인에비터블 데마이스(둘 이상의 아군유닛이 적군영토 내 위치, 9인치내 다른 적군 없어야 함)을 선택합니다.

뱅퀴셔들은 익스큐셔너를 정리합니다.

나이트헌트들이 벡실러에게 차지, 제거에 성공하면서 택틱을 달성합니다. 하단오브젯트를 리버레이터에게 빠앗기며  전 라운드와 동일하게 6점을 확보합니다.

 

<4라운드 후턴-스톰캐스트 이터널>

이번라운드 부터는 전황에 집중하느라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 스톰캐스트는 택틱으로 테이크 더 플랭크를 선택합니다. 그러나, 이는 아군영토를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스톰캐스트의 오판이었고, 택틱에는 실패합니다. 뱅퀴셔가 블레이드 가이스트와 드레드블레이드에게 차지하여 그 수를 줄여줍니다. 택틱 실패로 6점만을 확보합니다. 

 

<4라운드 종료-나이트헌트 26, 스톰캐스트 29>

 

<5라운드 선턴-나이트헌트>

택틱으로 중앙점거를 선택합니다. 뱅퀴셔와 근접전 중이던 두 유닛이 모두 리트릿 하여 중앙을 점거합니다. 블레이드가이스트와 레클루시안의 접전은 이어집니다. 오브젝트에서 멀어지며 6점(오브젝트 2점, 택틱 4점)을 확보합니다.

 

<5라운드 후턴-스톰캐스트 이터널>

별도의 택틱달성 없이도 6점이 확보 가능한 상황이 되어 그대로 게임을 종료합니다. 

 

5라운드 종료, 최종적으로 나이트헌트 32, 스톰캐스트 35로 스톰캐스트 측이 승리합니다.